여름철 무더위 스마트팜 장비 관리 철저히
- kagronews
- 2020년 7월 27일
- 1분 분량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여름철 무더위가 시작됨에 따라 스마트팜 온실에 구축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를 철저히 관리해줄 것을 당부하고 관리 요령을 소개했다고 밝혔다.
여름철 외부 온도가 30∼40℃도로 지속되면 온실 내부 온도는 외부보다 약 5℃도 이상 높아지며, 온실 내 설치된 센서나 제어용 컴퓨터 등은 구동 시 발생하는 열의 순환이 어려워 내구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특히 스마트팜의 센서 장비 내구 온도 범위는 대부분 영하 40℃에서 영상 60℃로 세심한 온도 관리가 필요하다.
센서 장비는 직사광선을 피해 설치해야 온도 센서가 잘못된 값을 전송해 발생하는 개폐기나 차광막 등 구동기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다.
휴작기에는 센서 장비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온실 내부의 온도‧습도‧이산화탄소‧pH‧EC 센서 등은 전원을 차단하고 분리해서 보관한다.
센서 데이터 수신과 구동기 제어에 쓰이는 A/D보드는 스위치와 릴레이 등에서 열이 발생하는 부품으로, 온실 내부가 40℃가 넘으면 외부 덮개를 열고 선풍기 등을 돌려 열기를 외부로 빼내는 것이 좋다.
제어용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 그래픽카드, 메인보다 등 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품으로 이뤄져 있다.
여름철 외부 온도가 30∼40℃가 되면 컴퓨터 내부는 60℃ 이상까지 올라 갑자기 시스템이 멈출 수도 있다.
제어용 컴퓨터는 통풍이 잘 되고 30℃ 이하인 곳에 설치하며, 고온이 계속되면 덮개를 열고 선풍기로 내부 열기를 강제로 배출해야 시스템이 멈추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스마트팜 온실 내 센서와 개폐기 등의 작동을 ICT를 활용해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팜 블랙박스 시스템’ 고도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팜 블랙박스 시스템은 스마트 온실 내 장비의 운용기록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에 고온으로 인한 기기의 이상 유무를 파악해 교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농촌진흥청 스마트팜개발과 성제훈 과장은 “국내 농업 생산액의 13%를 차지하는 시설원예산업에 스마트팜이 많이 보급될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에 더욱 힘쓰겠다”고 했다. <최안순 기자>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한국농림신문 주용수 기자]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는 4월 8일 경기도 안성시 소재 농협창업농지원센터에서 강호동 회장과 안성시 관내 조합장들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 11기 입교식을 개최했다. 농협청년농부사관학교는...
[한국농림신문 김 별 기자] 세종특별자치시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종태)가 도시농업에 관심 있는 시민을 대상으로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과정’ 교육생을 모집한다.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과정은 도시농업 정의와 이해, 도시농업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