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 양육 추산
- kagronews
- 2019년 2월 4일
- 2분 분량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국민의 동물보호 의식 수준과 동물보호․복지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2000명을 대상으로 대면면접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의 23.7%로, 4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보유 가구 수는 약 511만 가구로 추정되며, 전체 가구 중 개를 기르는 가구는 18%, 고양이는 3.4%, 토끼, 새, 수족관동물 등을 기르는 가구는 3.1%로 추산된다.
반려동물 구입 경로는 지인에게서 무료로 분양 받았다는 응답이 50.2%로 가장 높았으며 펫샵에서 구입(31.3%), 지인에게서 유료로 분양받음(10.8%), 길거리에서 유기동물 데려옴*(5.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을 기르는데 소요되는 비용(사료비, 미용, 동물병원 진료비 등)은 월 평균 10만원 미만을 지출한다는 응답이 66.5%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르는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처리 계획에 대해서는 반려동물 장묘시설을 이용해 처리하겠다는 응답이 55.7%로 가장 높았으며, 주거지․야산 매립(35.5%), 동물병원에서 처리(8.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반려견 동물등록제가 2014년 7월 전국으로 확대 시행된 이후, 기르고 있는 반려견을 등록했다고 50.2%가 답했다.
동물등록 방식에 대해서는 내장형 마이크로칩 일원화가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61.6%로 현행 선택방식 유지가 바람직하다는 응답(38.2%)보다 더 높았다.
반려견과 동반하여 외출할 경우에는 인식표 및 목줄 등을 착용하고 배설물을 수거해야 하는 등 준수사항 이행여부에 대해서는 준수사항을 잘 지키고 있다는 응답이 79.9%로 나타나 반려견 소유자의 의식 수준은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준수사항을 지키지 못한 이유로 반려견이 목줄 착용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는 응답이 40.9%로 가장 높았으며, 준수사항을 지키는 것이 귀찮아서라는 응답도 25.7%였다.
유실 또는 유기되는 동물을 예방하기 위한 우선사항으로, 동물을 버리는 소유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39.8%로 가장 높았으며, 미등록 소유자 처벌 강화(31%), 동물입양절차를 까다롭게 해야 한다(16.5%) 등 순으로 응답했다.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을 위해 중성화 수술 후 방사하는 TNR 정책에 대해서는, 매우 찬성 23.2%, 찬성하는 편이 57.1%로 응답자 10명 중 8명(80.3%)이 TNR 정책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복지 인증 제도에 대해 응답자 중 24.2%만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증제도 인지 응답자 중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58.2%로 나타났다.
가격이 일반 축산물에 비해 비싼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매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는 구매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59.9%로 구입 의향이 없다는 응답 40.1%보다 높게 나타났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는 동물등록 제도의 장기적 방향 설정, 유실․유기동물 예방, 길고양이 중성화사업, 농장동물복지 등 동물보호․복지 정책 수립에 활용될 계획이며 앞으로 동물보호․복지에 대한 국민의식수준 향상 및 공감대 확산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안순 기자>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한국농림신문 주용수 기자] 농협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가 6월 19일 국립농업박물관과 함께 ‘밥심 쌀심! 쌀벤져스 요리교실’ 오픈 기념식을 개최했다. ‘밥심 쌀심! 쌀벤져스 요리교실’은 밥과 쌀을 활용한 다양한 요리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한국농림신문 주용수 기자] 농협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가 오는 16일까지 한국농협김치 캐릭터(6종)를 소재로 한「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5월 가정의 달 및‘한국농협김치 어린이김치’출시 1주년을 맞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