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15일 서울대학교·UN대학과 함께 국제 학술토론회
- kagronews
- 2018년 9월 13일
- 1분 분량
농업유산의 가치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실현하기 위해 아시아 각 나라의 전문가들이 모인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15일 서울대학교·국제연합(UN)대학1)과 함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회의장에서 '농업유산의 다원적 가치 활용'을 주제로 국제 학술토론회를 연다고 밝혔다.
농업 유산은 인류가 오랜 시간 동안 자연과 상호 작용하며 형성해 온 농업시스템 중 특히 보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자원을 의미한다.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는 2002년 세계중요농업유산 제도를 도입했으며 현재 21개 나라 52지역이 등재돼 있다.
우리나라도 2012년부터 국가중요농업유산 제도를 받아 들였으며 9개 지역이 지정돼 있다. 이 중 청산도 구들장논 등 4개 지역은 세계중요농업유산이다.
이번 토론회에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농업유산 관련 연구자 및 전문가, 지역 주민 등이 참여하며, 주제 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우선, 제1주제는 '지속가능한 농업유산의 발전'으로 △ 세계중요농업유산의 지속 가능한 발전 △ 생물다양성과 농업유산의 가치 △ 세계농업유산의 역사와 미래에 대해 발표한다.
제2주제는 '농업유산의 보전과 관리'로 △ 한국 담양 대나무농업의 생태문화적 가치 활용 △ 한국 울진 금강소 산지농업의 생태적 가치 활용 △ 일본 쿠니사키시 산지농업의 전승과 교육 △ 한·중·일 농업유산 관련 정책 △ 농업유산의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유산의 특성과 회복력지표가 발표된다.
끝으로 각 나라의 전문가들이 농업유산의 다원적 가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UN대학과 함께 농업유산지역을 조사할 계획이며, 농업유산의 공익적 기능 보전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김미희 과장은 "이번 국제 학술토론회는 농업·농촌에 대한 진정한 가치를 되돌아보고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농업유산의 가치 발굴과 활용 연구를 확대·보급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임영민 기자>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한국농림신문 주용수 기자]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는 5월 9일 서울 중구 본관에서 2024년도 제1차「범농협 ESG 추진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23년 주요 추진사항 ▲24년 주요 추진계획 ▲추진계획에 대한 위원 의견청취 순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