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빅데이터로 본 김장철 이모저모”
- kagronews
- 2017년 11월 17일
- 1분 분량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는 본격적인 김장철을 앞두고 소셜 웹 빅데이터와 온오프라인 판매정보를 통해 김장 준비방식과 주요 성향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김장’, ‘김장철’을 키워드로 블로그(1만8000건), 인스타그램(1만6000건), 트위터(1만8000건), 페이스북(3000건)에서의 언급 수와 검색어로 최근 3년간 김장에 대한 대국민 관심을 분석했다. 또한, 농협 하나로마트 판매시점정보관리시스템(POS)의 판매데이터와 온라인 G-마켓의 판매량 지수를 통한 김장준비 선호도를 살펴봤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결과 최근 3개년간 김장하기 좋은날은 기존의 ‘입동일 후’보다 다소 늦어진 ‘수능일 후’로 나타났다. 김장 준비 연관어 분석결과 ‘간편’ 그리고 ‘신선’한 것을 선호하고 40~50대의 ‘절임배추’에 대한 온라인 구매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보였다. 이는 20~30대의 김치 소비감소와 40~50대의 편리성 선호경향이 복합적으로 작용된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이후 농협 하나로 판매데이터 분석결과 신선배추의 판매량은 감소하고 절임배추의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오프라인 김장재료(절임김치 포함) 판매량은 2014년 대비 2016년에 3.3% 증가했으며 그 중 친환경 및 우수농산물 관리제도(GAP) 인증 농산물 판매비중은 2.8%를 차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장철 일부품목의 판매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근, 가지, 비트, 고구마 순 등도 판매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김장이 배추 이외 주재료로 활용 가능한 품목의 판매량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분석결과는 네이버 팜, 농식품부 및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관련기관 홈페이지, 옥답(www.okdab.kr) 등에 게시할 예정이며 농식품부 정책소식지 등에 게재하여 홍보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김장철 준비 트렌드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정보가 김장철을 맞이해 우리 농산물 소비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대국민 관심사항 및 이슈사항을 선정하여 공공데이터와 민간데이터를 융복합한 빅데이터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용수 기자>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한국농림신문 주용수 기자] 농협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가 운영하는 농식품 전문 쇼핑몰‘농협몰’이 이달 17일부터 30일까지‘상반기 결싼세일’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동철원농협 두루웰 철원 오대쌀, ▲성주참외원예농협...
[한국농림신문 주용수 기자] 농협(회장 강호동)이 오는 12일까지 전국 농협하나로마트에서 사과, 참외, 대파 3개 주요 농산물을 동일가격으로 할인 판매한다. 이번 행사는 고물가 기조에 대응하여 소비자 장바구니 부담을 완화하고 농산물 판매를...